슬기로운 생활인/어맹(語盲)탈출(9)
-
2022학년도 EBS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단어장, hwp 한글문서, 편집 가능, 학생 테스트용
2022학년도 EBS 수능특강 영어독해연습 단어장을 챕터 구분없이 순서대로 단어만 추출해서 hwp 한글문서로 만들었습니다. 학생 테스트용으로 마음대로 편집 가능합니다. 오늘도 수고 많으신 대한민국 모든 영어 선생님께...
2021.03.31 -
2022학년도 EBS 수능 특강 영어 단어장, hwp 한글문서, 편집 가능, 학생 테스트용
편집가능한 2022학년도 EBS 수능 특강 영어 단어장 한글 문서(hwp)버전, 학생 단어 테스트용으로 가능 오늘도 고생 많으신 대한민국의 모든 영어 선생님들께...
2021.03.08 -
영어 공부 10년 해도 실력이 늘지 않는 한국 사람을 위한 영어, Chapter 5 - 'carry'가 이런 뜻도 있어?
영어 잘하는 사람이 쓰는 단어가 기껏 2천개 내외다. 영어를 모국어는 아니지만 거의 모국어에 가깝게 쓰는 나라 사람들이 영어를 잘하는 이유는 쉬운 단어들을 잘 활용하기 때문이다.(사실, 우리가 쉬운 단어라고 생각하는 단어가 결코 쉬운 단어가 아니지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나라들 중 영어로 말하기 상위에 있는 나라들이 대표적으로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스위스 같은 유럽 국가들인데, 그들이 2천 단어 내외로 표현을 자유자재로 한다는 것은 아는 사람은 다 안다. 사실 잘 들어 보면 문법적으로는 틀린 것이 많다. 하지만, 문법적 오류에 대해 개의치 않고 거침없이 사용하고, 또 듣는 사람들이 거의 다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이 핵심이다. 즉, 기초적인 단어..
2021.02.26 -
영어 공부 10년 해도 실력이 늘지 않는 한국 사람을 위한 영어, Chapter 4 - 'make'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단어들
영어를 잘 하려면, 특히 말하기나 글쓰기를 잘하려면,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자주 쓰는 단어, 우리가 달달 외워서 아는 쉬운 단어부터 실제로 어떻게 쓰이냐를 제대로 파악하고 반복 연습해야 한다. 언젠가 TV에서 외국 언론사인척 길거리에 다니는 아무 행인과 영어 인터뷰를 시도하려는 몰래 카메라를 본 적이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 인터뷰를 피하거나, 용기 있게 인터뷰를 나서는 사람들조차도 그렇게 능숙하게 영어로 말하는 사람이 드물었다. 이는 필자가 이전 포스팅에서도 밝혔듯이 사실 우리가 부끄러워할 일도 아니고, 학교 선생님이 잘못 가르쳐서도 아니다. 독해 위주의 영어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 또 영어를 매일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없는 환경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관련 글: keepstoc..
2021.02.22 -
영어 공부 10년 해도 실력이 늘지 않는 한국 사람을 위한 영어, Chapter 3 - 'come up with' 이해하기
2019학년도 7월 고3 모의고사 28번 어법 문제에서 발췌 내용 요약 "우리는 최면을 통해서 평소보다 더 많은 기억들을 생각해 낸다고 믿지만, 사실 그 기억들이 사실에 근거한 것인지는 알 수 없을 뿐더러,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최면상태에서 더 잘 기억해 낼 것이라는 믿음과 그 믿음으로 인한 노력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무엇을 정확히 생각해 내야 할지를 모르기 때문에 최면을 사용하게 된다." come up with 제대로 활용하기 위 문장에서 'come up with'가 있는 문장을 보자. "Hypnosis leads them to come up with more information, but not necessarily more accurate information." "최면은 사람들이 더 많은 정보..
2021.02.15 -
영어공부를 왜 꼭 해야 하는지 아직도 몰라? 통계로 본 인터넷에서 영어 사용 비중
사실상, 세상에서 모국어로 가장 많이 쓰는 언어는 중국어다. 이 통계는 어디까지나 모국어 기준이기 때문에 그 나라의 인구를 반영한다. 중국 인구가 2016년 공식 통계로만 13억 7천만 명이다. 그다음은 스페인어인데 4억 6천만 명 정도로 본다. 알다시피 이는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나라가 많아서인데, 멕시코뿐 아니라, 많은 중남미 국가들이 스페인어를 쓴다.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본 노래인 'Despacito'가 스페인어(정확하게는 American Spanish)인데,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 시각 현재 조회수가 72억까지 간 이유 중 하나가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쓰는 인구가 그만큼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놀랍게도 지금 이 시각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본 동영상이 'Baby Shark Dance'이다, 조회수..
2021.02.10